"나는 내 나라로 갈래" 
지금 여기, 용감한 여행을 떠나온 그녀들
열 개의 여정 그러나 하나의 마음으로 다시 떠나는
<위로공단> 임흥순 감독의 아주 특별한 휴먼 바캉스

 

 

연출의도


하나의 나라였던 조선은 일제강점기를 거쳐 한국전쟁 이후 남과 북으로 갈라졌다. 이 갈라진 남과 북을 남쪽 사람들은 남한과 북한이라고 표현하고, 북쪽 사람들은 북조선과 남조선이라고 표현한다. 남쪽사람들에게 북쪽 사람들은 머리에 뿔 달린 사람들, 꽃제비(가난), 가족세습(독재)을 거쳐 핵미사일의 공포를 떠올린다. 남쪽 사람들에 대한 북쪽 사람들의 인식 또한 마찬가지이다. 어디서부터 어디까지가 진실이고 거짓인지 혼란스러울 정도다. 오랜 시간 보지도, 듣지도, 만나지도 못한 사람들은 서로에 대한 비방, 긴장, 적대적인 공존관계를 유지해 왔고, 세상에서 가장 낯선 관계로 만들었다. 이번 프로젝트는 남과 북 두 체제를 모두 경험한 북한 여성들의 이야기를 통해 남북관계의 새로운 인식과 예술의 공적이고 사회적인 역할을 모색해 보고자 기획되었다.


리뷰


임흥순 감독의 <려행>은 그의 전작인 <위로공단>과 맞닿아 있다. <위로공단>이 압축적 산업화의 주역이자 동시에 희생자인 여성노동자를 주목한 것처럼, <려행>은 분단을 교란하며 이주한 적극적 주체이면서 동시에 분단구조 내 가장 취약한 이들로 북한 출신 여성을 주목한다. 그녀들은 여성이기에 북한을 떠나 국경을 넘을 수 있었지만, 동시에 여성으로서의 수많은 한계와 고통을 경험하기도 했다. 최악의 식량난으로 알려진 90년대 중반 고난의 행군 이후 북한체제의 주민 통제가 약화되자, 여성은 적극적인 이동 주체로 전환되었고 이들 중 몇몇은 국경을 넘어 한국까지의 기나긴 여정을 떠나게 되었다. 하지만 이들의 이동은 매매혼, 인신매매, 폭력 등으로 점철된 험난한 과정이었고, 천신만고 끝에 도착한 한국에서도 북한 출신이라는 편견과 차별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려행>은 10명의 북한 출신 여성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북한에서의 삶, 국경을 넘기까지의 망설임과 두려움, 중국과 제3국을 거친 긴 이주의 과정, 그리고 한국에서의 힘겨운 일상 등을 담담하게 그려낸다. 마음을 울리는 인터뷰 사이에 임흥순 감독 특유의 시적인 영상과 음악이 또 다른 서사와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어느 곳에도 정박하지 못하고 여전히 부유하며 살아가고 있는 북한 출신 여성의 계속되는 ‘려행’을 그리면서, 이 영화는 한반도에서 여성으로 살아간다는 것, 분단구조에서 여성의 위치라는 무거운 질문을 던진다. (2017년 제9회 DMZ국제다큐영화제/김성경)

영화는 두 사람의 야간산행으로 시작된다. 산은 험준하고 주위는 어둡다. 작은 전등불에 의지해서 두 사람은 산을 내려온다. 그리고 인터뷰가 시작되고, 이 영화가 탈북 이주 여성에 대한 영화라는 것을 알게 된다. 영화는 먼저 탈북 이주 여성의 눈에 비친 한국의 모습을 보여준다. “아침이었거든요, 지하철에서 사람들이 뛰는 거예요. 나는 그때 할 일도 없었거든요? 그런데 나도 뛰고 있더라고요. 그런데 내가 왜 뛰었는지 이해를 못하겠더라고요.” 그리고 영화는 또다시 산을 뛰어다니는 두 사람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렇게 임흥순 감독의 영화는 친절하면서도 한편으론 모호하다. 감독의 전작 <위로공단>(2014)에서처럼 영화에는 정직한 인터뷰 사이사이에 풍경화 혹은 정물화 같은 장면들이나 재현과 유사한 행위예술이 삽입되어 있다. 이 행위예술은 사실 투박한 재현이지만, 이질적이기도 하다. 시간과 장소가 전혀 다른 곳에서 이루어지는 재현이 낯선 느낌을 주는 것이다. 인터뷰에 참여한 10명의 탈북 여성은 모두 저마다의 사연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영화는 이들의 인생을 하나의 서사로 엮기보다는 이들이 느낀 감정에 주목한다. 이들이 공통적으로 느끼는 어떤 감정이 있다면, 그것은 아마도 당혹스러움일 것이다. 이방인으로 살고 싶지는 않았지만, 이방인이자 실향민으로 살아가야 하는 삶이 주는 당혹스러움이다. 그러나 당혹스러움의 이면에 삶에 대한 강한 의지가 엿보이기도 한다.

Posted by 비몽사몽간
,